책이야기

내적 타당도 간단정리

이궁이 2022. 4. 8. 22:41
728x90
반응형

실험 또는 연구조사를 통해 찾아낸 효과가 다른 경쟁적 원인들에 의해서라기보다는 조작화된 처리에 기인된 것이라고 볼 수 있는 정도를 의미합니다. 즉 처치와 결과 간의 관찰된 관계로부터 도달하게 된 인과적 결론의 적합성 정도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내적 타당성을 위태롭게 하는 요소에는 외재적 요소와 내재적 요소가 있습니다.

 

외재적 요소는 처치집단과 비교집단을 구성할 때 두 집단에 특성이 서로 다 른 표본들을 선발·할당함으로써 오게 될지도 모르는 편견(biases)을 말하며 내재적 요소는 평가연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스며들어 가는 교란요인을 말합니다.

 

처치과정에 스며들어 인과적 추론의 타당성을 낮게 하는 내재적 요소들로는 ①역사적 요소(history), ②성숙효과(maturation), ③상실요소(experimental mortality), ④측정요소(testing), ⑤회귀인공요소(regression artifact), ⑥측정도구의 변화(instrumentation), ⑦선발과 성숙의 상호작용(selection maturation interaction), ⑧처리와 상실의 상호작용(treatment mortality interaction) 등이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책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적타당도 저해요인 간단정리  (0) 2022.04.10
인보관운동  (0) 2022.04.09
스키너의 강화계획  (0) 2022.04.08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간단정리  (0) 2022.04.07
매슬로의 욕구단계 이론 간단정리  (0) 2022.0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