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이야기

쇼와대공황??4

이궁이 2022. 1. 17. 06:35
728x90
반응형

이러한 쇼와불황의 직격탄을 맞은 곳은 농촌이었습니다.

당시 일본은 비단을 만드는 양잠업을 농촌 사회에서 많이 하고 있었는데, 쇼와 불황으로 완전히 박살나게 됩니다.

이렇게 농촌 경제가 무너지면서 소작쟁의가 1931년 이후 급격히 증가하고, 딸을 사창가에 파는등 극단으로 치닫게 됩니다.

이는 농가에서의 금해금을 주도한 당시의 정당정치에 대한 증오를 폭증시키게 됩니다.

 

일본 농촌은 일본 군부에서 가장 중요한 인적자원의 원천으로 여겼는데 이러한 농촌에서 정당정치에 대한 증오가 만연하게 된 것이죠.

 

이후에 벌어지는 만주사변등 일본 청년 장교들의 폭주의 근본에는 이 쇼와 대공황으로 당시의 정당정치를 증오한 사병들의 적극적인 협조가 있었다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농촌 경제만 문제가 된 것은 아닙니다. 쇼와 대공황의 여파는 노동 근로자들에게도 심각한 영향을 미쳐서 노동자들의 임금및 실업지수등이 대폭으로 폭락하게 합니다.

 

즉 임금은 깍이고 실업률은 높아졌다는 거죠.

 

사실 세계 대공황때의 미국도 이러한 일을 겪었지요. 

 

또한 일본의 GNP 감소, 주가지수 폭락 등으로 니뽄 정부에 대한 국민들의 반감 및 불신이 폭증하고 있었습니다. 

 

이 정부에 대한 불만은 고스란히 군부에 대한 지지로 이어지면서 이후 니뽄 군부가 벌이는 만주사변과 5.15 사건에서 보여주는 군부의 폭주에 대한 열렬한 지지로 이어지게 됩니다. 

 

만주사변으로 시작되는 본격적인 일본 군부의 폭주는 일본 정부로 하여금 원하지도 않는 적극재정으로 이어지게 했고 이로 인해 일본은 느낌적인 느낌으로 경기가 나아졌다는 착각에 빠지게 됩니다. 

 

경기가 나아졌다는 느낌적인 느낌 덕택에 군부에 대한 국민들의 신뢰와 지지는 더욱더 강해지게 된 것이죠.

 

그러다가 1930년 11월 14일, 하마구치 오사치 총리가 도쿄역에서 저격을 당합니다.

 

하마구치 총리는 간신히 목숨을 건졌지만, 완전히 회복되지 않은 상태였는데 그 때의 상처가 악화되어 1931년 4월 총리직 사임 후 곧 사망하게 됩니다.

 

그 뒤를 이은 와카쓰키 레이지로 내각은 어떻게든 긴축재정을 유지하면서 불황을 타개 해보려고 ㅈㄴ 노력하지만 실패합니다.

 

그리고 1931년 9월 18일 만주사변이 터지면서 긴축재정은 완전히 실패하고 그로 인해 은행 및 투기 자본이 대거 달러를 매수하면서 이를 막지못하는 와카쓰키 내각은 국민들에게 허수아비 정권이라는 오명을 듣게 됩니다.

 

그리고 그해 11월에 금해금을 포기하고 금본위제에서 이탈하고 와카쓰끼 내각은 실각하게 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이온지 긴모치가 이노무 니뽄 정당정치를 어떻게든 유지하려고 안감힘을 쓰지만 국민들이 정당정치에 가진 불만은 전혀 해소되지 않았고, 군부의 폭주 기관차는 전혀 멈출 생각을 하지 않게 되죠. 

이 군부의 폭주를 잘 나타내는 사건이 혈맹단 사건과 5.15 사건입니다.

 

혈맹당 사건은 일련종 승려인 이노우에가 12명의 문하생들과 함께 일인 일살을 모토로 부패한 원로, 정당과 재벌의 거두를 암살한다는 모토를 지닌 혈맹단을 조직했습니다.

 

그래서 1932년 2월 9일 금해제 추진을 주도한 이노우에 준노스케 암살, 3월 5일 금해제 당시 달러 매수, 매도 등 투기를 일삼은 것으로 지목된 미츠이 재벌의 단 타쿠마 이사장 암살했습니다.

 

그리고 1932년 5.15 사건이 벌어지는데요.

 

이 사건은 백주대낮에 일본 내각총리대신이 암살당하는 사건입니다.

 

이 두 사건으로 2차대전 전 일본의 마지막 정당내각은 끝장나고 군부의 폭주는 태평양 전쟁의 끝에 이르기까지 멈추지 않게 됩니다.


더불어

 

니뽄 국민들의 군부에 대한 지지도 이어지게 되는 거죠. 

 

ㅠ.ㅠ

 

 

728x90
반응형

'방송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주열,4.19민주화혁명  (0) 2022.02.01
처음 들어보는 전투 이름-마닐라 전투?  (0) 2022.01.27
쇼와대공황?? 3  (0) 2022.01.16
쇼와 대공황?? 2  (0) 2022.01.16
쇼와대공황?? 1  (0) 2022.01.11